목록소방공부 (3)
한테리어

소방 성능위주설계 소방설계에서 성능위주 설계란, 소방시설 설계에서 기존의 소방공사법이나, 화재안전기준이 있지만, 그 기준으로 확인이 안되는 공간이나, 건물, 등을 소방공사 설계를 하는것을 성능 위주 설계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롯대타워, 등이 있다. 소방공사업법 11조의 설계 조항 소방공사업법 11조에는 성능위주 설계에 대한 조항이 나와있다. 1항 소방시설설계업을 등록한자는 이 법이나 이 법에 따른 명령과 화재안전기준에 맞기 소방시설을 설계하여야한다. 다만, 중앙소방기술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소방시설의 구조와 원리 등에서 특수한 설계로 인정된 경우는 화재안전기준을 따르지 아니할 수 있다. 2항 제 1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해서는 그 용도, 위치, 구조, 수용인원, 가연물 의 종류 및 양 ..

안녕하세요~ 한테리어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종합정밀점검의 정의, 대상 그리고 점검자의 자격, 점검횟수 등 어떤건물에서 종합정밀점검을 받아야 하는지를 확인해드리겠습니다. 그럼 종합정밀점검 볼까요?? 1. 종합정밀 점검이란, 소방시설에서는 작동기능 점검 과 종합정밀 점검을 소방점검이라고 한다. 소방설비별 주요 구성 부품의 구조기준이 소방청장이 정하는 화재안전기준 및 건축법 등에 관련하고 기준이 적합한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보고서제출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제출되며, 소방시설 등의 점검결과를 보고하지 않거나, 거짓보고, 개선하지 않는 경우에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수 있다. 2. 종합정밀점검의 특정소방대상물 물분무등 소화설비가 설치된 연면적 5000㎡ 이상인 특정소방 대상물 (호스릴 방식물..

소방 펌프에는 여러가지 이상현상이 있는데 이는 매번 시험에 나온다. 모두 알아서 확인해보자. 1. 맥동현상 (suging) 맥동현상은 펌프를 운전할때 송출압력과 송출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입구나 출구에 설치된 진공계나 압력계의 지침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맥동현상 즉 서징(suging)이라고 한다. 즉 유량변화에따른 불안정한 압력변화에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 발생 원인 발생원인은 4가지정도가 있다. 대유량 펌프를 저유량 영역에서 운전하여 펌프의 용량 선정을 잘못한경우, 펌프나 팬 종류의 선정을 할 때에 잘못한경우 소화용수 공급이 원할하지 못하여, 펌프가 돌때에 반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 배관구격이 적합하지 못하여, 배관내 압력차가 많이 생기거나, 배관내의 굴곡이 없는경우 - 발생 대책 바이패스 ..